공학기호, 그리스 문자 읽기
공학 공부를 하다보면, 공학 기호로 잘 알지 못하는 그리스 문자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을 보게 된다.
그럴 때 마다, '이 기호는 어떻게 읽더라?' 하고 기억을 더듬어 본다.
그러다가 '내 머리속에서는 해결을 못보겠다'라는 판단이 들면
스마트 폰을 손에 쥐고 검색 엔진에서 검색을 하게 되는데,
이 때도 곤란하기는 마찬가지다.
그리스 문자를 어찌 읽는지 모르니, 검색어로 무엇을 입력해야 할지 몰라서 이리 저리 고민하다가
어찌어찌 찾아서 어렵게 답을 찾게 되었던 경우가 몇 번 있다.
고등학교 교육 과정 까지는 이러한 그리스 문자를 배우게 되는 경우가 없어서 (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다.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있다.)
고등학교 때 열심히 공부하고 대학교 입학해서, 대학 교재를 구입 한 뒤,
'대학교에서는 이제 뭐배우려나~' 하고 책을 한번 스르륵 넘겨보다 보면,
익숙하지 않은 꼬부랑 문자들이 많아 괜히 '대학교에서 이렇게 어려운거 배우나?', '큰일났네' 하곤 했다.
곤란함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.
강의 시간에 교수님이 누군가 지명해서 어디 어디 부분 좀 읽어 달라고 하면,
그 누군가는 잘~ 읽다가 그리스 문자에서 딱 멈춰서 머뭇 머뭇하고 있으면,
교수님이 알려주곤 하셨던 기억이 있다.
다행히 그 누군가는 내가 아니다.
나는 '내 부르지 마라' 하고 주문을 외우면서 교수님 눈을 피하고 있었던 학생 중 1인 이었다.
각설하고, 그리스 문자는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,
따로 공부? 까지는 아니고, 한번 쭉~ 읽어 놓으면
다음에 그리스 문자를 마주쳐도, 괜히 어려워 보이는 일은 줄어 들지 않을까?
아래는 그리스 문자 표 버전과 이미지 버전 이다.
그리스 문자 표에는 그리스 문자 대문자, 소문자와 대응 하는 영어 문자
그리고 영어 이름, 한국어 이름, 그리스 문자 별 사용 예를 작성 했다.
학업에 도움이 되길.
그리스 문자
대문자 | 소문자 | 영문자 | 영어이름 | 한국어 이름 | 사용 예 |
Α | α | A | alpha | 알파 | 각도, 변수 |
Β | β | B | beta | 베타(비타/비따) | 각도, 변수 |
Γ | γ | G | gamma | 감마 | 각도, 변수, 확률분포 형태, 비중, 투과율, 반사율, 변형률(전단) |
Δ | δ | D | delta | 델타 | 변화량, 밀도 |
Ε | ε | E | epsilon | 엡실론 | 변형률(축방향) |
Ζ | ζ | Z | zeta | 제타(지따) | 댐핑계수 |
Η | η | H | eta | 에타(이따) | 효율 |
Θ | θ | Q | theta | 세타(씨따) | 각도, 온도, 위상각 |
Ι | ι | I | iota | 요타(요따) | 단위 벡터 |
Κ | κ | K | kappa | 카파 |
|
Λ | λ | L | lambda | 람다 | 고유값, 감쇠상수, 파장 |
Μ | μ | M | mu | 뮤(뮈/미) | 마찰계수 |
Ν | ν | N | nu | 뉴(뉘/니) | 포아송비 |
Ξ | ξ | X | xi/ksi | 크사이(크씨) | KSI(1000PSI) |
Ο | ο | O | omicron | 오미크론 |
|
Π | π | P | pi | 파이(삐) | 원주율(파이) |
Ρ | Ρ/ρ | R | rho | 로 | 밀도 |
Σ | σ/ς | S | sigma | 시그마 | 응력, 총합 |
Τ | τ | T | tau | 타우(따프) | 전단응력 |
Υ | υ | U | upsilon | 입실론(윕실론/웁실론) |
|
Φ | φ | F | phi | 파이(피) | 각도 |
Χ | χ
| C | chi | 카이(히) | 분포도 |
Ψ | ψ | Y | psi | 프사이(프씨) | 각도 |
Ω | ω | W | omega | 오메가 | 각속도 |
댓글